무화염연소의 정의
화염이 보이지 않는 연소기술
연소가스의 재순환을 극대화하고 연료와 공기가 연소가스와 혼합하여 농도가 낮아지며 그에 따라 연소속도가 낮아져서 화염이 보이지 않음.
고온의 연소가스와 연료 및 공기가 혼합함으로써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여 자발화 온도 이상에서 낮은 농도로 인해 느린 반응이 유지됨.
일반적으로 연소가스 재순환율이 3이상, 연소실 평균온도가 800
o
C 이상인 경우 안정적인 무화염연소가 유지됨.
화염연소 | Flame Combustion
무화염연소 | Flameless Combustion
역방향공기주입방식 무화염연소
본 신에너지연구실에서 개발한 새로운 무화염연소기술임
공기와 연료를 정 반대의 위치에서 투입하여 효과적인 무화염연소를 형성함
.
원통형
,
선회형,박스형 등 다양한 형태의 무화염연소로 개발
.
용량은 제한이 없으며, 3 kW ~ 1MW급까지 실증 완료.
다양한 에너지 기업들과 무화염연소 적용 실증사업 진행중.
RAI: reverse air injection, S-RAI: swirling RAI, F3: flat flameless furn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