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기후환경공학
Posted: Tue Mar 04, 2025 9:28 am
에너지기후환경공학 수업과 관련된 정보입니다.
참고문헌
1. 기후정보포털 http://www.climate.go.kr/home/cooperation/lpcc.php
2. https://www.law.go.kr/법령/환경기술및환경산업지원법
3. https://www.law.go.kr/법령/산업발전법
4.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 ... =156448029
5. 한국환경공단 홈페이지 https://www.keco.or.kr/kr/business/clim ... 0/index.do
6. 코트라 해외시장 뉴스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 ... Idx=189947
7.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https://www.knrec.or.kr/business/policy_re100.aspx
8.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 ... =156423559
9. 한겨례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 ... 94524.html
10. https://www.kdhc.co.kr/cyb/Cy_Content/CM2017.do
11. 전력거래소, https://www.kpx.or.kr/www/contents.do?key=414
12.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 산업과, http://www.motie.go.kr/motiee/presse/pr ... l-summary/
14. 태양광모듈 탄소배출량 산정 및 검증지침, 신재생에너지센터, 산업통상자원부, 2020년 7월 20일)
15. 풍력발전 CO2 배출생애주기 평가와 사례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eSEAT 프로그램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 ... =1&bbsId=
16. https://www.sedaily.com/NewsVIew/1OJRFW2JAD)
17. 바이오매스 환경오염논란 https://www.chosun.com/special/special_ ... FMQZR7TBI/
18. 산림바이오매스는 탄소중립자원이다http://www.ecotiger.co.kr/news/articleV ... dxno=33391)
19. http://www.energydaily.co.kr/news/artic ... urce=dable
20. An assessment of CCS costs, barriers and potential, Energy Strategy Review, 22(2018) 61-81
21. 출처: 에너지 데일리https://www.energydaily.co.kr/news/arti ... xno=114306
22.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 ... dx_cd=2728
23. 국민대 신에너지연구실 실험결과
24. 숯 첨가 콘크리트벽돌의 물성특성과 친환경 성능에 관한 연구, 2009,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6권 1호 123-126 /
25. 박혜난, 숯을 이용한 건축 재료의 습열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2004, 인하대학교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논문)
26.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 ... nn_path=E1)
27. 밭토양 지력증진을 위한 유기자원의 최적 활용기술 개발 최종보고서, 국립식량과학원, 2019)
28. 영월 발전소: https://news.v.daum.net/v/2017081203141 ... l/index.do
29.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 2050 탄소중립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 발표자료, 2021)
3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차 생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암모니아 관리정책 마련 기초연구 보고서, 2017
31. 유용희. 농촌진흥청, 가축분뇨 처리현황과 개선방안, 2013
32. 충북연구원, 국내외 가축분뇨 처리이용 및 악취저감 실천기술 적용과제 연구용역 보고서, 2018)
3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 현안분석 제80호 가축분뇨 자원화 여건 변화와 대응과제, 2020.11.23.)
3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축산폐기물 바이오매스 재활용시스템 기술동향, 2013)
35. 이샛별,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_일본의 가축분뇨처리 기술 동향, 2017)
36. 한국농어민신문, 가축분뇨 재생에너지-논산계룡축협 자원순환농업센터, 2018.07.06.)
37. 농촌진흥청, 바이오차 및 가축분 퇴비를 이용한 펠렛 형태의 완효성 비료 제조방법, 2018)
38. 더불어민주당 탄소중립특위. 2021. 탄소중립을 위한 농업분야 주요과제 실행계획 수립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더불어민주당 탄소중립특위. 95p.
39. 민경택, 안현진, 변승연. 2020. 산림바이오매스의 지역 에너지 이용 확대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3p.
40. 박동배, 이주량, 임영훈, 심성철, 서용석, 김명관. 2015. 농업분야 신재생에너지 정책방향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96p.
41. 박종순. 2010. 대구 도심형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방안. 대구경북연구원. 66p.
42. 이소영, 김선기, 김도형, 김동완. 2009.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사업 실행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16p.
43. 이준표, 박순철. 2016. 바이오매스 자원 잠재량 산정.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6: 19-26.
44. 이택관, 이종연, 김영준. 2011.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자립 마을 구축에 관한 연구. 유기물자원화. 19: 28-32.
45. 이충건, 이상열, 주상연, 조라훈, 박선용, 이서현, 오광철, 김대현. 2017. 한국의 에너지용 바이오매스활용을 위한 농업부산물 잠재에너지량 추정 및 한국형 수거모델에 관한 연구. 신재생에너지. 3: 27-35.
46.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 2021. “2050 탄소중립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 발표자료.”
47. 충북연구원. 2018. “국내외 가축분뇨 처리이용 및 악취저감 실천기술 적용과제 연구용역 보고서.”
48. 환경부. http://www.me.go.kr/ -정보공개-사전정보공표-가축분뇨발생및처리량. 검색일: 2021. 10. 25.
49. Zang et al. 2017. Control of dimethyl sulfide and dimethyl disulfide odors during pig manure composting using nitrogen amendment. Bioresource technology, 224, 419-427.
참고문헌
1. 기후정보포털 http://www.climate.go.kr/home/cooperation/lpcc.php
2. https://www.law.go.kr/법령/환경기술및환경산업지원법
3. https://www.law.go.kr/법령/산업발전법
4.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 ... =156448029
5. 한국환경공단 홈페이지 https://www.keco.or.kr/kr/business/clim ... 0/index.do
6. 코트라 해외시장 뉴스 http://news.kotra.or.kr/user/globalBbs/ ... Idx=189947
7.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https://www.knrec.or.kr/business/policy_re100.aspx
8.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 ... =156423559
9. 한겨례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 ... 94524.html
10. https://www.kdhc.co.kr/cyb/Cy_Content/CM2017.do
11. 전력거래소, https://www.kpx.or.kr/www/contents.do?key=414
12.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 산업과, http://www.motie.go.kr/motiee/presse/pr ... l-summary/
14. 태양광모듈 탄소배출량 산정 및 검증지침, 신재생에너지센터, 산업통상자원부, 2020년 7월 20일)
15. 풍력발전 CO2 배출생애주기 평가와 사례연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ReSEAT 프로그램 https://www.reseat.or.kr/portal/cmmn/fi ... =1&bbsId=
16. https://www.sedaily.com/NewsVIew/1OJRFW2JAD)
17. 바이오매스 환경오염논란 https://www.chosun.com/special/special_ ... FMQZR7TBI/
18. 산림바이오매스는 탄소중립자원이다http://www.ecotiger.co.kr/news/articleV ... dxno=33391)
19. http://www.energydaily.co.kr/news/artic ... urce=dable
20. An assessment of CCS costs, barriers and potential, Energy Strategy Review, 22(2018) 61-81
21. 출처: 에너지 데일리https://www.energydaily.co.kr/news/arti ... xno=114306
22.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 ... dx_cd=2728
23. 국민대 신에너지연구실 실험결과
24. 숯 첨가 콘크리트벽돌의 물성특성과 친환경 성능에 관한 연구, 2009,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6권 1호 123-126 /
25. 박혜난, 숯을 이용한 건축 재료의 습열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2004, 인하대학교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논문)
26.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 ... nn_path=E1)
27. 밭토양 지력증진을 위한 유기자원의 최적 활용기술 개발 최종보고서, 국립식량과학원, 2019)
28. 영월 발전소: https://news.v.daum.net/v/2017081203141 ... l/index.do
29.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 2050 탄소중립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 발표자료, 2021)
3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차 생성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암모니아 관리정책 마련 기초연구 보고서, 2017
31. 유용희. 농촌진흥청, 가축분뇨 처리현황과 개선방안, 2013
32. 충북연구원, 국내외 가축분뇨 처리이용 및 악취저감 실천기술 적용과제 연구용역 보고서, 2018)
3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 현안분석 제80호 가축분뇨 자원화 여건 변화와 대응과제, 2020.11.23.)
3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축산폐기물 바이오매스 재활용시스템 기술동향, 2013)
35. 이샛별,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_일본의 가축분뇨처리 기술 동향, 2017)
36. 한국농어민신문, 가축분뇨 재생에너지-논산계룡축협 자원순환농업센터, 2018.07.06.)
37. 농촌진흥청, 바이오차 및 가축분 퇴비를 이용한 펠렛 형태의 완효성 비료 제조방법, 2018)
38. 더불어민주당 탄소중립특위. 2021. 탄소중립을 위한 농업분야 주요과제 실행계획 수립을 위한 토론회 자료집. 더불어민주당 탄소중립특위. 95p.
39. 민경택, 안현진, 변승연. 2020. 산림바이오매스의 지역 에너지 이용 확대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3p.
40. 박동배, 이주량, 임영훈, 심성철, 서용석, 김명관. 2015. 농업분야 신재생에너지 정책방향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96p.
41. 박종순. 2010. 대구 도심형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방안. 대구경북연구원. 66p.
42. 이소영, 김선기, 김도형, 김동완. 2009.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사업 실행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16p.
43. 이준표, 박순철. 2016. 바이오매스 자원 잠재량 산정.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6: 19-26.
44. 이택관, 이종연, 김영준. 2011.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에너지자립 마을 구축에 관한 연구. 유기물자원화. 19: 28-32.
45. 이충건, 이상열, 주상연, 조라훈, 박선용, 이서현, 오광철, 김대현. 2017. 한국의 에너지용 바이오매스활용을 위한 농업부산물 잠재에너지량 추정 및 한국형 수거모델에 관한 연구. 신재생에너지. 3: 27-35.
46.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 2021. “2050 탄소중립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 발표자료.”
47. 충북연구원. 2018. “국내외 가축분뇨 처리이용 및 악취저감 실천기술 적용과제 연구용역 보고서.”
48. 환경부. http://www.me.go.kr/ -정보공개-사전정보공표-가축분뇨발생및처리량. 검색일: 2021. 10. 25.
49. Zang et al. 2017. Control of dimethyl sulfide and dimethyl disulfide odors during pig manure composting using nitrogen amendment. Bioresource technology, 224, 419-427.